그가 만약 그들 자신의 이기심(self-love)이 자기에게 유리하게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면, 그래서 자기가 그들에게 해주도록 요구하는 일을 그들이 자기에게 해주는 것이 이익이 된다는 것을 설득할 수 있다면, 그들의 도움을 얻으려는 목적은 더 효과적으로 달성될 것이다(17쪽).
‘내가 원하는 것을 나에게 주시오, 그러면 당신이 원하는 것을 가지게 될 것이오’ 이것이 이러한 거래에 담겨진 의미이다.
그러므로 (수렵민족이나 유목민족) 자기 자신의 이익을 위한 고려에서 그는 활과 화살의 제조를 그의 주된 업무로 삼게 되며 그리하여 그는 일종의 무기제조자가 된다.
교환 성향은 이기심에 의해 촉진되어 분업에 이른다
각 사람의 천부적 재능의 차이는 사실상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적다(19쪽).
상이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재능의 차이를 형성시키는 것이 교환 성향인 것처럼 이 차이를 유용한 것으로 만드는 것도 마찬가지로 이 교환 성향이다.
제3장 분업은 시장의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동인도의 벵골지방과 중국의 동부지방에서도 아주 오래된 고대에 이미 농업과 제조업의 발달이 있었던 것 같다.
고대의 이집트인, 인도인, 중국인들이 외국무역을 장려하지 않고도 이러한 내륙 수상운송으로부터 거대한 풍요를 끌어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제4장 화폐의 기원과 사용
개인은 자기 자신의 노동생산물 중 자기 자신의 소비를 초과하는 잉여분을 타인의 노동생산물 중 자기가 필요로 하는 부분과 교환함으로써 자기 욕망의 대부분을 만족시킨다(26쪽).
이러한 곤란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어느 시기에나 분업이 처음으로 확립된 뒤, 분별있는 사람은 누구나 자기 노동의 특수한 생산물 이외에 타인들의 상품과 교환할 때 타인들이 받기를 거절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는 어떤 종류의 상품 일정량을 항상 가지고 있으려고 노력했음에 틀림없다(27쪽).
원시사회에서는 가축이 상업상 통용되는 매개수단이었다고 한다.
아비시니아에서는 소금이 상업과 교환에서통용되는 매개수단이었다고 하며, 인도 해안의 어느 지역에서는 조개가, 뉴펀들랜드에서는 마른 대구가, 버지니아에서는 담배가, 서인도 식민지의 일부 지역에서는 설탕이….
다른 어떤 성질보다도 이 성질이 금속으로 하여금 상업과 유통의 매개수단에 적합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