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스미디어 효과 이론의 역사에서 인지 일관성 이론은 메시지 수용자의 선별적 노출과 선별적 지각 및 선별적 기억이라는 중개 변인의 효과를 제기하면서 매스미디어의 소 효과론을 등장시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했다.
- 아브라모위치는 197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행해진 패널 조사를 통해 당시의 포드-카터 후보 토론회를 시청한 유권자들은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의 정책적 입장이 자신의 입장과 맞지 않을 경우 후보의 입장에 맞게 자신의 입장을 바꾼다는 사실을 입증했다.(p. 277)
- 이는 자신의 정책적 입장과 의견을 같이 하는 후보를 바꾸어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후보에 대한 태도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의 입장을 바꾼다는 메커니즘을 밝혀낸 의미 있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인지 일관성 이론에 근거한 텔레비전 후보 토론회의 효과'를 읽고
-
이성규
미디어고토사의 창업자이자 필자입니다. 2005년부터 이 블로그를 운영해왔습니다. 트위터 140자의 매직, '혁신저널리즘'(공동저작), '사라진 독자를 찾아서' 등을 집필했습니다. 미디어와 기술, 비즈니스의 관계에 관심이 많습니다.
작성자의 글 더보기
이성규
• 2분 걸림
• 댓글 남기기
계속 읽으시려면 지금 구독해주세요
미디어고토사는 thecore.media로 통합됐습니다 👏
다음 정기결제 7일 전 자동결제 안내 메일을 보내드립니다. 걱정 없이 유료 구독하세요.
이미 구독 중이시면 로그인 하세요
Powered by Bluedot, Partner of Mediasp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