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소셜미디어 '주목의 현금화'와 소셜미디어 조금 시간이 지나긴 했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발행하는 신문과방송 1월호에 짧은 글을 기고했습니다. 주제는 '주목경제와 소셜미디어'였습니다. 온라인에서 신뢰 높이고 관계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해왔던 소셜미디어가 왜 지금 신뢰 추락의 근원으로 지목받고 있는지를 설명한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뉴스레터 유료 뉴스레터 등장에 대한 몇 가지 단상과 블로그 전성시대에 대한 기억 잠시 예전에 기억을 더듬어 보려고 합니다. 블로그가 개인의 미디어로서, 그리고 기자들의 새 수익원으로서 각광을 받던 때가 있었습니다. 미국에선 digg.com과 Techmeme, Technorati, reddit를 중심으로 개별 블로그들을 수집하고 제시하고 배열했죠. 국내에선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댓글 댓글 필터링 의무 적용 아이디어는 사후적 조치 1. 악플의 정의에 대해 언급한 문장은 제가 임의로, 예시로 이 필터링 시스템의 기술적 하한선을 제시해본 것입니다. 당연히 기술적 하한선은 업계와 정부 등의 이해당사자들이 합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그리고 '악플'의 정의에 대한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댓글 본인확인제 대신 '댓글 필터 의무적용제' 어떨까? 제한적 본인확인제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와 대안입니다. 많은 분들과 토론하지 못했고 또한 가능 여부에 대해서도 확신을 가지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느냐는 개인적 의견을 정리한 것일 뿐입니다.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추천시스템 추천시스템의 한계와 '대중의 지혜' '대중의 지혜' 대한 신뢰“인간의 장점을 판별할 수 있는 민중의 자연적 능력을 의심하는 사람이 있다면, 아테네인들과 로마인들이 계속적으로 탁월한 선택을 한 것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이것을 운이었다고 치부할 수는 없다.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뉴욕타임스 왜 한국엔 뉴스자동수집 사이트 등장하지 않을까 NYTimes가 뉴스 콘텐트의 보강을 위해 수집 방식(Aggregation)을 1일부터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Blogrunner라는 서비스를 통해서입니다. NYT는 2005년 이 서비스를 사들였습니다. Techmeme와 같은 뉴스 콘텐트 자동 수집 사이트입니다. 뉴욕타임스는 일단 테크놀로지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블로거 1:10:89의 법칙과 기자의 잠재력 개별 블로거가 블로그 운영만의 수익으로 먹고살 수 있는 날이 온다면 가장 먼저 빛을 낼 수 있는 집단이 기자들이 아닌가 합니다.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추천 알고리즘 Digg 등의 추천 알고리즘이 올블로그에 주는 시사점 뉴미디어 뉴스/미디어 스타트업 2007/03/04 17:20 몽양부활 Recommendation에 기반한 Social Media에서 front page 배치 알고리즘은 사이트의 생명 그 자체라 할 수 있습니다. Digg.com이 Social Media의 왕좌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newstrust 고품질 저널리즘 추구하는 소셜 뉴스사이트 newstrust 뉴미디어 뉴스/미디어 스타트업 2006/12/03 18:04 몽양부활 reddit, digg, netscape와 같은 소셜 뉴스 사이트가 새롭게 등장했습니다. 뉴스트러스트라는 사이트입니다. 베타버전이 뜬 것은 며칠 정도 됐습니다. 이 소셜 뉴스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digg Interview with Digg founder Kevin Rose 학습자료실 2006/02/03 16:56 몽양부활|dangun76 Interview with Digg founder Kevin Rose, Part 1 Posted by Richard MacManus @ 7:22 pm Yesterday I interviewed digg founder Kevin R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