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뉴욕타임스 뉴욕타임스가 건강한 댓글 공간을 AI와 만들어가는 방식 뉴욕타임스의 댓글 공간은 청정 지역에 가깝습니다. 국내 포털 댓글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불쾌하고 유해한 콘텐츠는 거의 없습니다. 그들이 강조하는 것처럼 ‘건강하고 전문성이 묻어있는 토론 커뮤니티, 포럼’에 가깝습니다. 수준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댓글 댓글 논란에 대한 나의 짧은 생각들 댓글 논란에 대해 간단히 저의 견해를 적으면. 아웃링크가 대안일까? 나의 결론 : 조건부로 대안이 되기 어렵다 1) 언론사의 댓글 관리 능력 : 포털과 달리 국내 언론사는 댓글만을 전문적으로 기획하고 관리할 수 있는 담당자가 거의 없다. 있는 경우를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소셜댓글 플랫폼에 의존하고 있는 현재 상태로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댓글 [토론 제안] 오피셜 댓글, 어떤 결과 가져올까요? [토론 제안] 다음카카오의 오피셜 댓글 기능, 관심 가지고 계시겠죠? 어떻게 보시나요? 벗님들과 의견을 나눠보고 싶습니다. 짧게라도 코멘트를 주시면 어떨까 합니다. 먼저 제 생각부터 전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성격의 정의 및 규정 오피셜 댓글인지 정식 반론문인지 정확히 정의할 필요가 있을 듯합니다. 아직까지 구현 결과물이 드러나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댓글 페이스북 영상, 레딧 댓글 임베트 테스트 (function(d, s, id) (document, 'script', 'facebook-jssdk')); 천안함 폭침 5주기…해군 대규모 해상기동훈련천안함 폭침 5주년이 되는 날이죠. 해군이 대규모 해상기동훈련을 실시했습니다. 지금 이 순간 북한이 다시 도발한다면, 우리 군의 대응전력은 어떤지 살펴봤습니다. Go! VIDEO MUG Posted by SBS 뉴스 on 2015년 3월 26일 목요일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글로벌화 싸이월드 세계화 실패 보는 또다른 시선 싸이월드의 글로벌화 실패에 대해 여러 분들의 좋은 의견을 많이 주시고 계십니다. 그만큼 우리에겐 큰 자산이었고 잠재력도 풍부한 서비스였기에 이런 뜨거운 반응이 나오지 않아 싶습니다. 국내에도 서비스의 글로벌화를 준비하시는 분들이 많을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댓글 댓글 필터링 의무 적용 아이디어는 사후적 조치 1. 악플의 정의에 대해 언급한 문장은 제가 임의로, 예시로 이 필터링 시스템의 기술적 하한선을 제시해본 것입니다. 당연히 기술적 하한선은 업계와 정부 등의 이해당사자들이 합의해야 할 부분입니다. 그리고 '악플'의 정의에 대한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댓글 본인확인제 대신 '댓글 필터 의무적용제' 어떨까? 제한적 본인확인제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와 대안입니다. 많은 분들과 토론하지 못했고 또한 가능 여부에 대해서도 확신을 가지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느냐는 개인적 의견을 정리한 것일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