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주간경향 [주간경향 기고] '틱톡 따라하기' 메타와 기후위기 💡매월 주간경향에 기고하는 기술 관련 칼럼입니다. 미디어 시장의 환견을 더 넓은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가 틱톡 닮기를 노골화하기 시작했다. 건강한 라이벌 정도로 여겼던 틱톡이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언론사람 [언론사람 기고] 빅테크의 AI 인프라는 중력처럼 언론사를 빨아들인다 이번달 언론사람 기고문이 언론사람 웹진에 발행됐네요. 이 주제를 선택하게 된 건 논문 학술지 디지털저널리즘에 발행된 'Uneasy Bedfellows: AI in the News, Platform Companies and the Issue of Journalistic Autonomy' 이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미디어기술 [주간경향 기고] 언어모델의 진화와 AI 자본주의 시대 주간경향에 기고하는 기술 비평 칼럼. 오늘에서야 공개가 됐네요. 꾸준히 관심가지고 있는 언어모델 이야기입니다. 뭐랄까요 일종의 'AI 울타리치기' 흐름이랄까요? 인클로저 맞습니다. 그런 경향들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인상을 받게 됩니다. 이를 닉 다이어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미디어기술 지역언론사가 도입을 기대하는 AI 기술의 종류 지난 3월 AP는 56페이지 분량의 AI 관련 보고서를 출간한 적이 있습니다. 제목은 '지역 뉴스에서 인공지능'이었죠. 지역언론사들이 얼마나 AI 시대를 준비하고 있는지 그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었습니다. 그리고 얼마나 도입하고 있는지도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미디어기술 대규모 언어모델, 스폰서드 광고를 만든다 제가 대규모 언어모델에 관심이 많은 건 잘 아실 겁니다. 앞으로 기자의 업무 향상 등에 가장 영향을 미치게 될 관련 기술이라고 보기 때문인데요. 최근 들어 규모 측면에서나 성능 측면에서나 괄목할 만한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미디어기술 [번역] NFT 거품이 터지기 시작한 것일 수도 있다 NFT는 언론사들도 눈독을 들이는 시장입니다. 이미 여러 국내 언론사들이 실험적으로 테스트를 하기도 했었죠. 올해가 언론사들 입장에선 NFT의 원년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습니다. 저는 AP의 NFT 마켓 사례도 주목해야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미디어기술 [기고] 웹3와 낭만적이고 극단적인 자유주의 인터넷은 탄생부터 분산적이고 개방적이었다. 그 이상에 매혹돼 모두가 인터넷에 열광했다. 새로운 유형의 민주주의를 가져올 것이라고도 기대했다. 집중화된 권력의 개인을 향한 분산, 누구나 참여하고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참여와 개방성. 인터넷을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알고리즘 '발견된' 네이버 뉴스 3대 알고리즘의 취약점들 제2차 네이버뉴스 알고리즘 검토위의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사이기도 해서 짤막하게 분석한 내용과 의견, 대안 등을 써내려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네이버 뉴스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는 알고리즘은 크게 3가지로 구성돼 있다는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로이터연구소 [번역] 2022년 저널리즘, 미디어, 그리고 테크놀로지 트렌드와 예측 올해도 어김없이 로이저저널리즘연구소는 저널리즘, 미디어, 기술 트렌드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아래는 지난 1월10일 공개된 로이터 연구소의 보고서 'DIGITAL NEWS PROJECT JANUARY 2022 - Journalism, Media, and Technology Trends and Predictions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미디어기술 포털이 참고하면 좋을 야후 재팬 뉴스의 전재료 정책과 기능들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서 '내부 편집자(코코가 포인트) - 전문가(공식 코멘테이터) - AI(댓글 필터링)'의 협업 구조를 유기적으로 잘 구성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런치스터디 두 번째 런치 스터디 : 네이버 하이퍼클로바 논문 - 초대형 언어모델은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가 벌써 두 번째 런치 스터디가 다가오네요. 지난번 스터디를 통해 격주로 진행하기로 확정했습니다. 이번주 유독 제 일정이 너무 빡빡해서 1시간만 당겼습니다. 참석률이 저조해질 것을 알면서도 불가피했습니다. 이번주만 양해를 해주세요. 지난번엔 저널리즘과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저널리즘 NPR의 취재원 추적도구 개발 : 정보원 다양성과 다원적 민주주의에 주는 함의 미국 공영방송 NPR의 정보원 추적 플랫폼 ‘DEX’가 주목을 끌고 있네요. Poynter가 나름의 의미를 덧붙여 이를 조명했고, NPR도 정보원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다양성을 위한 노력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소개된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미디어기술 노컷뉴스의 기사 ‘핵심요약', AI의 대체 가능성은? 추출 요약 중심이라면 AI 요약 모델 도입을 검토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을 듯
전체 공개 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번역 [번역] 진실, 거짓말, 자동화 : 언어 모델이 허위정보를 어떻게 바꿀 수 있는가 자동화 툴이 허위정보 캠페인을 위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을까에 대한 연구결과는?